전체
FE: 피그마, 화면정의서
BE: API 명세서, 테이블 명세서 + ERD
GitHub Project Kanban 설정
- 모든 이슈 생성 후 칸반보드 백로그에 등록
- Day9, Day14, Day19을 완료 기준으로 하는 마일스톤 등록
Jira vs GitHub Project
- 레포지토리 owner 권한이 Jira 없어서 연동할 수 없어서 사용하기 힘듬.
- GitHub Project로 결정
백엔드 진행 상황 및 이슈
- 프론트가 수정한 부분에 대해 API 명세서 수정 예정
- 1순위 기능의 URI ERD 테이블, API 명세서 작성 완료
- Github 추상화 작업 중 - 기능은 현재 없지만 기능에 대해 작성
프론트 진행 상황 및 이슈
- 로컬 서버 여는 방법
- 요구사항 양식 수정 완료
- 디자이너분께 최종 수정사항 요청
- 프론트 Vercel 배포 완료
팀명 공유해보기
- 선아 : 1 Ever ! land
- 은비 : 생각해줘잉
- 현석 : 생각해줘잉
- 재곤 : 생각해줘잉
- 윤희 : 2 제로플렉스 / 3 제로빌리티
- 한별 : 생각해줘잉
Git Flow 트렁크 기반 개발
- main ← feed ← feed/fe & feed/be
- main ← login ← login/fe & login/be
- main ← login-fix ← login-fix/fe & login-fix/be
- login/fe-ui, login/fe-oauth, login/fe-bugfix
회고
- KPT 식 팀회고
- 본인의 실수는 선빵 날리기
- 우리는 아기 개발자니까 칭찬 한마디씩 해주기 🥹
- 팀원1이 잘못한것에 대해 스스로 선빵이 없으면 이분의 발전을 위해 쿠션어 많이 넣어서 오프라인에서 아이스크림 하나 먹으며 얘기해주기
- 금요일 5시 30분~6시까지 (약 30분 진행) (페이지 + 댓글)
개발자 테스트
개발자 테스트는 예상하는 기능만큼 작성하시는게 좋아요!다만 스프린트를 진행하실 예정이시기 때문에 스프린트 단위로 테스트 작성하시면서 진행하시는것도 좋습니다!
예를들어 스프린트1때 만들 기능들에 대해 테스트를 작성하시고 마치신뒤 회고하시고 스프린트 2를 시작하실때 테스트 작성하시고 시작하시는 과정으로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